2025 파리이응노레지던스 파리 전시 개최
■ 입주작가 이강욱, 박효정, 이시온 작가 <네 손가락, 모래로 된 내 나침반>展
■ 프랑스 파리 오르-샹 갤러리에서 10월 15일부터 22일까지 작품 소개
(재)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 이응노미술관(대표이사·관장 이갑재)은 2025년 파리이응노레지던스 입주작가로 선정된 이강욱, 박효정, 이시온이 3개월간의 레지던스 활동을 마무리하는 기획전을 파리 오르-샹 갤러리(Galerie Hors-Champs)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10월 15일부터 22일까지 열리며, 개막식은 10월 16일 오후 6시에 열린다. 전시 제목은 <네 손가락, 모래로 된 내 나침반 Tes doigts, mes boussoles de sable〉이며, 기획은 입주작가 3인과 함께 활동하고 있는 파리이응노레지던스 매니저 박정선이 진행했다.
현재 작가들은 파리 인근 보-쉬르-센(Vaux-sur-Seine)에 위치한 ‘이응노 아틀리에’에서 창작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번 전시에서는 레지던스 기간 동안 제작한 신작을 선보인다.
파리이응노레지던스는 2022년부터 파리 시내에서 전시를 개최하며 현지 미술계와 활발히 교류해 왔다. 올해는 파리 마레 지구에 위치한 오르-샹 갤러리와 협력해 전시를 열며, 입주 작가들에게 예술적 사고와 국제적 시각을 확장할 기회를 제공한다.
입주 작가들은 프랑스라는 낯선 환경 속에서 각자의 작업적 경계를 실험하고 재정립했다. 이강욱은 기존 작업에 내포된 인용의 방식을 더욱 응축하고 정제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박효정은 자기 내면의 감각에서 확장해 타인의 감각을 포괄하는 새로운 팔레트를 탐구했다. 이시온은 유럽의 자연환경 속에서 개별 생명의 위치를 사유하며 이를 시각 언어로 풀어냈다.
이갑재 이응노미술관장은 “파리 주요 갤러리들이 밀집한 마레 지구에서 우리 지역 작가들을 소개하는 전시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역량 있는 작가들이 이응노미술관의 지원 사업을 통해 세계 무대에 진출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전시개요
○ 전시명: 2025 파리이응노레지던스 <네 손가락, 모래로 된 내 나침반>展
○ 작 가: 이강욱, 박효정, 이시온
○ 일 시: 2025년 10월 15일~10월 22일
○ 개막식: 10월 16일 오후 6시 (파리시간)
○ 장 소: 오르-샹 갤러리 (Galerie Hors Champs)
- 갤러리 주소: 20 Rue des Gravilliers, 75003 Paris
- 갤러리 홈페이지: https://galerie-hors-champs.com
■ 전시 기획의도
10번째 파리 이응노 레지던스에 모인 세 명의 작가들은 모두‘경계’에 대해 고민한다. 과거와 현재, 지금과 그때, 이곳과 저곳, 산 자와 죽은 자- 이들은 그 사이에 놓인 틈에서 작업을 이어나간다. 이강욱 작가는 종이라는 평면적 매체 위에 이질적인 시간성과 지리성을 갖는 레퍼런스를 병치하며, 이를 유머러스한 조형 언어를 통해 구사하여 다중적인 의미망을 생성한다. 박효정 작가는 사적 기억의 집합체인‘집’을 조각하고, 이들을 조립해 하나의 공동체적 구조인 마을로 확장시킨다. 이 과정은 작가는 사적 기억의 흔적을 어루만지는 동시어 그것이 지닌 세대적, 사회적 서사로의 확장 가능성을 지시한다. 한편 이시온 작가는 자연물에 내재된 생명의 순환성과 시간성을 탐구하며, 생성과 소멸이 공존하는 자연 현상을 통해 인간 삶의 보편적 성질을 사유하고자 한다.
이 세 작가는 보쉬르센(Vaux-sur-Seine)이라는 낯선 지역에서 각자의 작업적 경계를 실험하고 재설정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강욱은 기존의 작업이 내포하고 있던 다양한 인용의 방식을 더욱 응축하고 정제하는 방식을 고민하였다. 박효정은 자신 내면의 감각에 집중하던 태도에서 나아가, 타인의 감각을 포괄하는 새로운 팔레트를 고안하고자 했다. 그런가 하면 이시온 작가는 유럽의 자연환경이라는 새로운 풍경 속에서 개별 생명의 위치를 사유하고, 이를 시각 언어로 구현하는 방법을 고심했다.
경계는 고정된 실체라기보다는 역동적인 구조이다. 그것은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시간의 흐름과 관계의 형성 속에서 끊임없이 생성되고 해체된다. 경계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오직‘나’와‘타인’, 이쪽과 저쪽을 향한 우리의 시선과 태도에서 비로소 드러난다. 처음 마주한 도시, 지구 반대편의 낯선 파리에서, 세 작가는 이곳과 저곳, 과거와 현재, 같음과 다름, 현실과 상상의 그 마술적인'사이'에 대한 예술적 고민을 이어 나갔다.

이강욱, 밤의 여행자(Voyager of the Night)
gouache, oil pastel, scallop shell white, animal glue, printmaking paper, 46.5x64cm, 2025

이강욱, 별이 빛나는 밤 (The Starry Night)
gouache, oil pastel, scallop shell white, animal glue, acrylic paper, 40x50cm, 2025에 아크릴, 과슈 채색, 2021
이강욱(李康旭 / kangwook Lee)
1997 충남대학교 예술대 회화과 졸업
개인전
2025 숲으로 가는 길, 갤러리 레오, 세종
2023 난이거나 풀이거나, 갤러리 담, 서울
2021 조용한 생활, 갤러리 담, 서울
2020 숲으로 가는 길 / ARCANA, 갤러리 담, 서울
2019 숲으로 가는 길, 갤러리 담, 서울
2018 산의 바깥 바다 너머, 갤러리 담. 서울
2017 꽃이면서 불인 것, 갤러리 담, 서울
2016 이강욱 전, 두루 아트스페이스, 서울
2016 사물의 밤, 아트스페이스 루, 서울
2015 칼과 심장, 그리다 갤러리, 서울
2015 이강욱 전, 켄싱턴갤러리, 제주
2013 아무것도 아닌 것에 대하여, 128갤러리, 대전
2013 이강욱 개인전, 모리스갤러리, 대전
2012 관산일기, 쌍리갤러리, 대전
2010 회화의 방식, 롯데화랑, 대전
2009 이강욱 전, 프랑스문화원 분원, 대전
2006 그것 혹은 그 밖의 것, 반지하 갤러리, 대전
2003 이강욱 드로잉전, 프리즘 갤러리, 대전
단체전
2024 삼인전, 아트스페이스123, 대전 / 2인전, 메르헨갤러리, 대전 / 4각 전, 수리치갤러리, 공주/
산해경 전, 갤러리 담, 서울
2022 장난감전, 갤러리 담, 서울
2016 생활속 발견, 기당미술관, 제주
2015 이중섭 창작센타 결과 보고전, 이중섭 미술관
2014 바람섬의 나날, 이중섭 미술관, 서귀포
2013 홍성답다, 이응노 생가 기념관, 홍성 / S.E.A.P. 2014 바다환경예술프로젝트, 제주 법환동
2012 혜안을 만나다, SPACE SSEE, 대전
2011 HIVE 마당발네트워크, SPACE A, 청주
2010 Archive House, SPACE SSEE, 대전
2009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 광주 대인시장
/ 가공할 미술, 대전창작센타 / 배밭에서 한밭을 만나다,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
2008 유쾌한 유희, 갤러리 이안, 대전
2007 개와 고양이의 이야기, 대전시립미술관
2005 반지하 3인전, 반지하 갤러리, 대전 / Knitting & Collecting 2인전, BIBI 스페이스, 대전
2004 매개없는 영역-사물·그리기·체험, 부산시립미술관
2003 art book art, 국립현대미술관 / 드로잉 2인전, 스페이스 몸. 청주
2001 전환의 봄, 대전시립미술관
2000 물과 물성전, 롯데화랑, 대전
1997 간섭 2인전, 21C갤러리, 대전
레지던시
2008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 광주 / 2014 이중섭창작스튜디오, 제주
작품소장
부산시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이중섭미술관 外
lsdrt@naver.com

박효정, City of Dreams, 2025, wood, acryilc, 24x24

박효정, Whispers of the Night, 2025, wood, acryilc, 21x31
박효정
한남대학교 미술교육과 졸업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졸업
개인전
2024 삶의 기록 스페이스테미
2021 connect 아트스페이스 128
2016 connect 갤러리이안
2014 하 하 하 갤러리메르헨
2010 박효정 개인전 갤러리이안
2007 석사청구전 – 대전롯데갤러리
단체전
2008 아트스타전 (한가람미술관)
2010 “아시아프” (성신여대 미술관)
2012 대전 청년미술제 (M갤러리)
2012 아시아프 (구 서울역사)
2013 Small Masterpiece’ 展 ( 롯데갤러리 잠실점 )
2014 유희본능展 -
정철,임성희 박효정 3인전(대전이안갤러리 루리 HALL)
2014 대구현대백화점 갤러리H 기획초대전 - Because I'm happy
2015 랜드마크-세계도시건축 초대전 63스카이미술관
2016 ZIP 기획2인전(이갑재,박효정) 갤러리이안
2019~2023 더그룹 정기전
2019 대전청년장터 – 대전 문화재단
2024 making a way Vita Magasinet, Karlholmsbruk, Sweden.
2024 판타지동화 박효정&임성희 2인전 대전새손병원 외래갤러리
2024 Good vibes 기획3인전 아트포아트갤러리

이시온, Are you here_, 2025, acrylic on canvas, 91×91cm

이시온, 무음(SILENCE), 2024, oil on canvas, 116.8×80.3cm
이시온
한밭대학교 중국어과 졸업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졸업
개인전
2024 기획초대전 [천고아래 마주하여] (코너갤러리, 서울)
[GO ON] (플랜에이, 대전)
공간지원전 [그리하여 그러므로 계속해서] (충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대전)
2022 석사청구전 [To us] (이공갤러리, 대전)
단체전
2025 제 12회 [그리다, 꿈꾸다] (아트센터 쿠, 대전)
기획초대전 [환영을 환영한다] (이공갤러리, 대전)
기획초대전 [That we were here] (젠갤러리, 대전)
2024 대전국제교류회 [DIAEA-ALMATY] (알마티센트럴뮤지엄, 카자흐스탄)
DYAF 청년작가특별전 (이공갤러리, 대전)
나래전 [흐르는 별빛] (갤러리마롱, 서울)
조형아트서울 [PLAS2024] (COEX, SEOUL)
창조-융합 전국작가특별전 (대전예술가의 집)
[ALONE] (플랜에이, 대전)
기획초대전 [THE YOUNGEST] (갤러리메르헨, 대전)
대전MBC기획전 [새롭게 걷다] (대전MBC M갤러리)
2023 [DIAEA- ALMATY] (알마티 센트럴뮤지엄, 카자흐스탄)
[WHO:WHO:WHO] (에이블갤러리, 세종)
기획초대전 [That I was here] (젠갤러리, 대전)
제주화랑미술제 (제주라마다호텔)
나래전 [빛나는 물결] (일호갤러리, 서울)
청년예술작가전 [청춘컬렉션] (대전서구청)
청년작가기수전 (오원화랑, 대전)
2022 대전청년작가장터:시선수집 (대전신세계갤러리, 대전예술가의집)
세종미술시장 (정부세종컨벤션센터)
대전국제교류회 [COVID19를 넘어] (대전중구문화원)
한국미술주역전 (대전현대갤러리)
충원전 (이공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