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박용호: All Things of Everything 모든 것의 모든 것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박용호展 All Things of Everything 2025. 04. 30 - 05. 13

• 전시제목: All Things of Everything 모든 것의 모든 것
• 참여작가: 박용호
• 전시기간: 2025. 04. 30 (수) - 05. 13 (화)
• 관람시간: 10:30 - 18:00 (월요일 휴관)
• 전시장소: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127-2, 갤러리일호

• 전시개요

모든 것의 모든 것 [All Things of Everything]

나는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삶을 살아가는 태도가 작업의 결과물과 일치하기를 바란다. 세계에 관심을 가지고 삶을 가다듬듯 작업한다. 결국 나의 작품은 나의 생각과 시각이 조율된 평면이다. 생각은 대상을 향한 게 아니어서 말이 없다. 복합적인 그것이 말라버린 잉크 자국처럼 껍데기만 남을까 글로 둘 수 없다. 창작의 행위는 허망한 껍데기를 벗어나기 위한 노력이다. 작업의 결과는 생각의 결과와 등치된다.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도 물질세계를 이루는 존재는 가득 차 있다. 우리가 ‘보는 것’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더 나아가 우리가 이해하는 것만이 사물의 본질은 아니다. 모든 것은 물질세계의 근간을 이루는 존재와 그 존재들의 관계를 통해 모든 곳에 실재한다. 나의 작업은 비가시적 세계의 조각들을 채집하여 가시화하는 것이다. 그것은 물질의 본질을 탐구하는 미시세계의 과학적 사고를 인간의 관념과 오감이 관여하는 세계에 소환하는 과정이다. 가시화된 조각들은 물질세계의 모든 곳에 위계 없이 실재하는 존재들이다. 작업의 결과는 물질세계의 모든 곳에 실재하는 존재들과 밤하늘에 별을 보며 느끼는 무한함 그리고 깊은 새벽의 텅 빈 거리 사이에 놓여있다.

모든 것 중 하나 [One above All]는 인간의 오감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세계에 대한 탐구이다. 물질세계의 모든 존재들은 불확정적이며 동시적이다. 존재들은 모든 관점에서 다양한 층위의 관계를 맺으며 결과가 아닌 과정으로 존재한다. 우리가 인지할 수 있는 것은 복합적인 과정 중 하나의 단면이다.   

유한한 풍경 [Finite Landscape]은 물질의 본질을 담는 미시세계의 풍경화이다. 다각형은 더 이상 나눠질 수 없는 최소 단위이자 개별화된 처음의 존재를 상징한다. 비어있는 조각은 작품이 완성된 하나가 아니고 개별 조각의 집합임을 암시한다. 우리는 유한한 세계에서 인지 가능한 전체 풍경의 부분을 본다. 

유연한 연결 [Flexibility to Link]은 과학의 성과와 철학의 사유로 증명된 미시적이고 비가시적인 존재와 그 관계에 대한 방정식이다. 존재의 개별성은 끊임없는 관계의 원동력이다. 동시에 관계를 동등하게 유지시킨다. 존재는 모든 곳에서 모든 것으로 유연하게 연속되는 관계의 절대 상수이다.  

• 작가약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석사 (회화 전공, 2023)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학사 (금속조형디자인 전공, 2001)
갤러리 Site Nibancho 파트너 아티스트 (오사카&고베, 2011~현재)
한국미술협회 본부회원 (2021~현재)
갤러리 Carré d’artistes 파트너 아티스트 (파리, 2018~2022)
갤러리 Design Art Concepts 파트너 아티스트 (마이애미, 2018~2021)

| 개인전 
2025.05. 박용호 개인전 ‘All Things of Everything’ (갤러리 일호, 서울)
2023.11. 박용호 개인전 ‘The World without Hierarchy’ (금호 미술관, 서울)
2020.02. 박용호 개인전 ‘Draw the Emotion’ (갤러리 시바타초, 오사카)
2019.10. 박용호 개인전 ‘Draw the Emotion’ (예일화랑, 서울) 
2011 ~ 2016. 박용호 상설전 (갤러리 스테빌, 서울)
2010.05. 박용호 초대전 (갤러리 팜아, 도쿄) 
        
| 단체전 
2025.03. 공모전 THE SHIFT 10 ‘지도에서 청사진으로’ (갤러리 박영, 파주)
2025.01. 신진작가 공모전 ‘꿈과 마주치다’ (갤러리 일호, 서울)
2024.07. 청년작가 공모전 ‘YOUTH’ (화이트 스톤 갤러리, 서울)
2024.05. 개관기념 초대전 (갤러리 서울, 서울)
2023.11. 한국미술협회전 (예술의 전당, 서울)
2020.10. FORM 2020 (CICA미술관, 김포) 
2020.07. 아시아프 히든아티스트 페스티벌 (홍익대 현대미술관, 서울)
2019.12. 마이애미 디자인 플러스 (하얏트 호텔, 마이애미)
2019.06. 갤러리 까레다띠스 전시 (툴루즈, 프랑스)
2019.02. 오산시 승격 30주년 특별 기획전 '공존' (오산 시립 미술관, 오산) 
2018.09. 갤러리 까레다띠스 전시 (파리, 프랑스)
2018.07. 아트경기 기획전 (경기도청, 수원)

| 수상
2024. 제17회 서울국제미술대상전 특선
2023. 제42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
2020. 제39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

| 주요 소장처
아주 대학교 홍제관 (수원), VOCO 호텔 강남 (서울), 서울 특별시 문화사업 본부 (서울), SBS 드라마 제작국 (서울), 그랜드 워커힐 호텔 컨벤션 (서울), 홀리데이 인 호텔 송도 (인천), 순천향 대학 병원 (부천), LG 전자 (창원), 삼성 바이오 로직스 (인천), 삼성 모바일 디스플레이 (천안), SK 하이닉스 문화센터 (청주), 롯데 호텔 (부산), 롯데 백화점 (서울, 대구, 대전), 꿈두레 시립 도서관 (오산), 동아 대학교 병원 (부산), 미래에셋 금융그룹 본사 (서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