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모두에게: 초콜릿, 레모네이드 그리고 파티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25-04-15 ~ 2025-08-24

  • 참여작가

    김가람, 남다현, 서맨사 나이, 안드레아 프레이저, 윤결, 이학승, 천근성, 최원서, 케이트 저스트, 크리스틴 선 킴 & 토마스 마더, 클레어 퐁텐

  • 전시 장소

    수원시립미술관

  • 유/무료

    유료

  • 문의처

    031-228-3800

  • 홈페이지

    http://suma.suwon.go.kr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모두에게: 초콜릿, 레모네이드 그리고 파티》
For All: Chocolate, Lemonade and the Party
2025-04-15~2025-08-24
수원시립미술관 행궁 본관




수원시립미술관은 개관 10주년을 맞이하여 《모두에게: 초콜릿, 레모네이드 그리고 파티》를 개최합니다. 전시는 기존의 미술관 모델이 지닌 경직성을 벗어나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목소리와 경험을 반영하는 열린 공간을 지향합니다. 이를 통해 누구나 어려움 없이 즐거이 감상할 수 있는 전시 경험을 선사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에게 미술관은 어떻게 다가오나요? 미술관은 누군가에게 재미있고 흥미롭게 느껴지겠지만, 누군가에게는 낯섦과 어려움으로 가득하기도 할 것입니다. 미술관은 관람을 위한 여러 규칙과 제한을 두기도 하기에, 간혹 의도와는 상관없이 불편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작품과 관람자 사이에 존재하는 암묵적인 관람 규범, 난해한 동시대 미술과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 설명문 그리고 전시실의 위계적 구조 등은 종종 미술관과 관람자 사이에 거리감을 조성합니다. 그런가 하면 신체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미술관은 때로 접근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은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미술관이 되는 데 걸림돌이 되곤 합니다. 

전시는 미술관이 위와 같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그리고 어떻게 모두를 위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지 고민하며 기획되었습니다. 이제 미술관은 배제와 엄숙함, 규율과 난해함 대신 즐거움과 창조적 경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여러 층위의 관람객들이 미술관에 편히 머무르며 예술을 재미있게 즐기고, 그 기쁨을 나누기를 희망합니다. 전통적인 미술관의 권위를 허물고, 서로 다른 시각과 가치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도모함으로써 예술을 매개로 한 포용이 이루어지는 민주적 장(場)으로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제목에 사용된 ‘초콜릿’, ‘레모네이드’ 그리고 ‘파티’에는 상징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전시는 각 단어가 은유하는 바를 중심으로 미술관이 지향하는 가치를 엮어내고자 합니다. 초콜릿은 과거 ‘신들의 열매’라고 불렸던 카카오로 만든 귀한 음료였지만, 오늘날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음식이 되었습니다. 미술관 역시 특정 계층만을 위한 배타적 기관에서부터, 오늘날에 이르러 많은 이들이 접근할 수 있는 참여의 장으로 변모해 왔습니다. 이러한 변화처럼 ‘초콜릿’은 미술관이 누구에게나 개방된 장소로 나아가고자 함을 상징합니다. 레모네이드는 ‘삶이 당신에게 레몬을 주면, 레모네이드를 만들어라.’라는 속담에서 착안하여 레몬이 상징하는 시련과 고통을 극복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을 넘어서는 희망의 가능성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파티’는 개개인의 특성과 차이를 지닌 사람들이 함께 이야기 나누고 미술관이 제공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그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곳을 의미합니다. 동시에 모든 이들을 파티에 초대하고 받아들이고자 하는 수원시립미술관의 태도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미술 작품을 전시하거나 단순히 포용적인 미술관이 되고자 함을 주창하기를 넘어 상호 이해를 촉진하는 공간으로서 미술관의 역할을 재조명합니다. 참여 작가들은 조각, 영상, 설치, 퍼포먼스, 텍스타일 등의 매체를 통해 관람자에게 대화를 건네며, 전시와 함께 진행되는 워크숍과 프로그램들을 통해 문화적 경험의 폭을 넓히고자 합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전시실에 머물다 보면 서로 다른 삶과 연결되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다름을 존중하고 소통하며 미술로 새로운 경험을 나누는 여러분을 만나기를 기대합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