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소피 폰 헬러만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참여작가
소피 폰 헬러만

코오롱의 문화예술 나눔공간 스페이스K 서울은 영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 소피 폰 헬러만(Sophie von Hellermann, b.1975)의 개인전 《축제》를 개최합니다. 헬러만은 독일 뮌헨에서 태어나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에서 수학했습니다. 이후 작가는 런던으로 건너가 왕립예술대학 대학원을 졸업한 2001년부터 특유의 서정성이 돋보이는 회화적 설치 작업으로 미술계의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작가는 신화와 역사, 문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야기를 수집하여 회화를 구성합니다. 부드럽고 느슨한 붓질로 대상과 배경의 경계가 모호한 파스텔톤 그림은 서정성이 강조되어 있지만, 그 이면에는 표현주의적인 강렬한 감정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소피 폰 헬러만의 개인전은 한국의 명절인 '단오'를 비롯한 축제에서 영감받은 신작 회화 20여 점과 대형 벽화 작업을 선보입니다.

캔버스와 미술관 벽면에 펼쳐진 헬러만의 작업은 작가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진실과 허구, 의식과 놀이, 동서양을 가로지르며 ‘축제’의 의미를 확장합니다. 한국의 축제는 새로운 해의 시작을 알리고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는 형태로 자연의 주기에 맞춰 이어져 왔습니다. 또한 삶을 지속하며 맞닥뜨리는 수많은 불확실성과 끊임없는 난관을 극복하고 승화할 수 있는 자유와 화합의 장이었습니다. 마치 미술관 벽을 가득 채운 작가의 벽화가 전시 종료 후엔 다시 지워질 운명을 맞는 것처럼 인간의 탄생과 죽음 역시 때가 되면 열렸다 지나가는 축제 중 하나라는 생각을 해보게 합니다.
Space K Seoul is pleased to present 'Festival', a solo exhibition by UK-based artist Sophie von Hellermann (b.1975). Born in Munich and educated at the Kunstakademie Düsseldorf, von Hellermann moved to London, where she graduated from the Royal College of Art in 2001. Since then, her lyrical and painterly installations have garnered significant recognition in the art world.

Von Hellermann constructs her paintings from a vast collection of narratives spanning mythology, history, and literature. Her pastel-colored paintings, rendered with soft, loose brushstrokes that blur the lines between subject and background, evoke a sense of lyricism while also conveying a powerful expressionistic emotion. Sophie von Hellermann’s first solo exhibition in Korea showcases over twenty new paintings and a large-scale mural inspired by festivals, including the Korean holiday of Dano.

Stretching across canvases and museum walls, von Hellermann’s work uses her imagination to expand the meaning of “festival” by exploring truth and fiction, ritual and play,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Korean festivals have traditionally marked the cycle of nature, celebrating the beginning of a new year and beseeching prosperity for a good harvest. They also provide a place for freedom and unity, helping people overcome life’s relentless uncertainties and hardships. The ephemeral nature of the artist’s mural, destined for erasure after the exhibition comes to an end, prompts us to consider that human birth and death are similarly festivals that emerge and fade with time.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