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문화재단은 22일부터 28일까지 경기지역 예술단체 및 개인을 대상으로 '우리동네 예술프로젝트' 공모 신청을 받는다.
부천시와 경기문화재단의 기금매칭으로 예술활동을 지원하는 우리동네 예술프로젝트는 동네와 마을 기반의 공동체 연계 활동이나 지역 문화기반시설과 문화거점에서 실행되는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지원한다. 지원금 규모는 단체는 최대 1천500만원, 개인은 최대 500만원이다.
지원 신청을 원하는 전문예술단체 및 전문예술인은 부천문화재단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서식을 내려받아 작성 후 재단 방문 또는 등기우편으로 제출해야 한다.
28일 오후 6시 도착분까지 유효하다. 또한 4월께 커뮤니티 아트 및 공공미술분야 프로젝트에 대한 지역예술활동지원 기획공모사업도 실시될 예정이다. 문의:(032)320-6352, 6353
-경인일보 2017.02.13
(재)광주여성재단은 오는 21일부터 3월 20일까지 재단 내 북카페에서 조선주 작가 작품전을 개최한다.
이 전시는 지역여성 작가의 솜씨를 보고 배울 수 있도록 광주여성재단이 연중상설로 기획한 2017년 제2차 작은전시 및 체험프로그램이다.
‘추억의 북아트 업사이클링 생활소품’전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에서 조씨는 재활용 의류 및 재활용품, 압화재료 종이류 등 친환경, 아날로그적인 업사이클링 북아트와 생활소품 작품을 선보인다.
조씨는 2014 광주평생학습 시민아이디어 공모 대상수상, 전래동화 북아트, 2014년 제3회 대한민국 평생학습박람회, 광주 체험부스 운영(전래동화 북아트) 등 전시 경력이 있으며 광주지역 여성소모임 ‘지음&지음’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오는 21일 오후 2시에는 시민 대상 무료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이 날 프로그램에서는 잊혀져 가는 손편지로 정성 가득한 마음을 전할 수 있는 누름꽃 수제 카드 체험프로그램을 준비했다.
관심있는 지역민이면 누구나 무료참여 가능하고, 참여 희망자는 20일까지 홈페이지(www.gjwf.or.kr) 및 팩스(670-0505)로 선착순 신청하면 된다. 문의 062-670-0536.
-광주일보 2017.02.13
광주비엔날레재단이 13일까지 제4기 광주폴리도슨트를 모집한다.
제4기 광주폴리 도슨트는 서류 전형에 이어 오는 15일부터 21일까지 기본 교육과 심화 교육, 제3기 도슨트와의 매칭프로그램을 통한 폴리투어 발전 방안 도출 그룹 워크숍 등 과정을 거친다. 최종 개별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10명 내외가 선발되며 합격자는 20일 발표될 예정이다.
참여 희망자는 재단(www.gwangjubiennale.org) 또는 광주폴리(gwangjufolly.org) 웹사이트에서 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성 후 이메일(gfolly@gwangjubiennale.org)로 접수하면 된다. 광주폴리에 관심이 있는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능하다. 외국어로 해설이 가능한 자와 폴리투어의 전문성을 위해 건축·미술·관광·문화예술 등 전공자를 우대한다.
광주폴리 투어는 도보투어, 차량투어, 미션투어, 야간투어 등으로 구성됐으며 맞춤형으로 1·2·3차 광주폴리 감상이 가능하다. 소요 시간은 코스별로 1시간부터 최대 3시간 30분까지다.
광주폴리 도슨트는 지난 3기까지 각 10명씩 총 30여명이 활동했으며 지역민과 외지 관광객들에게 광주 건축 문화 예술을 알렸다. 문의 062-608-4265.
-광주일보 2017.02.13
▲노봉구씨(도서출판 향학사 대표) 별세, 재호씨(폴라리스쉬핑 상무) 부친상, 정태승(대성합동지주 고문), 구본균(전 아가방 대표), 오석전(전 한양대 신경외과 교수), 박의수(소아과 의사), 우종률(전 신한은행 지점장), 이종민(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이세영씨(중앙대 건축학부 교수) 장인상=1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4일. (02)3010-2262
- 매일경제, 한국일보 2017.02.13
국가무형문화재인 이리향제줄풍류 명예보유자인 김규수(사진)씨가 11일 오전 노환으로 별세했다. 93세. 고인은 가야금과 거문고를 배운 뒤 1970년부터 고(故) 강낙승 선생에게 이리향제줄풍류를 사사했다. 2003년 이리향제줄풍류 보유자, 2014년 명예보유자가 됐다. 이리향제줄풍류는 전북 익산 지역에서 전해오는 기악곡으로 가야금 거문고 양금 단소 해금 대금 피리 장구 등 8개 악기로 연주한다. 유족으로 3남 3녀가 있으며, 빈소는 경기도 군포시 용호성당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발인은 13일 오전 7시30분.
- 국민일보, 서울경제, 한겨레 2017.02.13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