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주 블로크展: 작은선의 위대한 여행“선 하나로 전 세계를 사로잡은 크리에이터, 세르주 블로크의 일러스트레이션, 라이브 페인팅, 스페셜 콜라보레이션까지-그의 풍부한 작업 세계를 예술의전당에서 만난다.”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자신만의 시각 언어를 구축해온 세르주 블로크가, 오는 5월 29일 예술의전당에서 개인전을 열기 위해 ...
전 시 명 광채 光彩 : 시작의 순간들 The Radiance : Beginnings of Korean Art Photography전시기간 2025. 5. 29.(목) ~ 10. 12. (일)전시장소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전시실 3, 4전시부문 사진, 영상, 아카이브 170여점전시작가 정해창, 임석제, 이형록, 조현두, 박영숙 《광채 光彩: 시작의 순간들》은 사진이 예술로 자리매김해 온 한국사진사의 주요 흐름을 비...
전 시 명 스토리지 스토리 STORAGE STORY전시기간 2025. 5. 29.(목) ~ 10. 12. (일)전시장소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전시실 1, 2, 영상홀, 로비 전시부문 사진, 영상, 아카이브 및 설치작품 90여점전시작가 서동신, 원성원, 정지현, 주용성, 정멜멜, 오주영 서울시립 사진미술관의 건립 과정을 단순 기록매체로서의 사진이 아닌, 현대예술로서의 미술실천을 ...
소울아트스페이스는 2025년 5월 27(화)에서 8월 13일(수)까지 김지원, 정승운, 박기원, 채우승 중견 작가 4인의 <감각온도: Affective temperature>展을 개최한다. <감각온도>란 인간이 생리적, 심리적으로 다르게 느끼는 온도를 수량적으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신체의 한계를 넘어서는 더위나 추위에 대한 반응은 대부분 비슷할지 모르나 사람마다 ...
제23회 문신미술상 수상작가 김문규 초대전2025.5.27 - 8.24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조각가 김문규가 20여 년간 창작해 온 입체 및 부조 조각 112여점을 선보이는 특별한 전시이다. 포르투갈 산 분홍빛의 대리석으로 제작된 1990년대의 ‘생’ 연작은 마치 생명을 품고 있는 알과 같이 신비감을 주며 ‘빛’ 연작은 내리는 빛을 비스듬한 직선들로 형상화하여 긴...
2025 스틸아트작가조망전 최옥영 《물성, 감각하는 철》전시기간 2025-05-27 ~ 2025-09-14전시장소 포항시립미술관 1, 3, 4전시실전시작품 조각 설치참여작가 최옥영관람시간 10시 ~ 19시 * 매주 월요일 휴관(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정상 개관)관람료 무료포항시립미술관은 스틸아트뮤지엄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금속 조형 언어의 동시대적 확장을...
장두건 소장품전 《투계: 끝없는 완성》전시기간 2025-05-27 ~ 2025-09-14전시장소 초헌 장두건관전시작품 회화 2점, 아카이브 자료 15점참여작가 장두건관람시간 10시 ~ 19시 * 매주 월요일 휴관(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정상 개관)관람료 무료초헌 장두건(1918~2015)은 한국 구상미술을 대표한다. 한국 화단에서 구상과 비구상의 구분이 본격화된 것은 196...
이만, 총총: 미술인의 편지Eches Chong chong: Letters from Artists2025.5.26 - 8.8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소장 및 수증한 미술인들의 편지를 새롭게 공개하여, 다층적으로 포착- 한국 근·현대 미술가들의 편지를 통해 미술가들의 희로애락과 관계망을 조망- 편지와 관련 작품 및 아카이브를 함께 선보여 미술계 기록을 보다 입체적으로 탐...
‘조각도시 서울’은 서울 전역을 지붕없는 미술관으로 변신시켜 세계적인 조각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2024년부터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시민들은 일상에서 수준 높은 조각작품을 감상할 수 있고, 작가들은 미술관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공간에서 실험적 전시를 선보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풍납토성은 2,000년 역사도시 서울의 기...
《자유롭게 이리저리 슬슬》2025. 5. 22(목) ~ 10. 20(월)보라매 공원참여 작가김도훈, 김병진, 김봉수, 남지형, 민복기, 배수관, 변대용, 안완기, 엄아롱, 유수, 이명훈, 장세일, 한진섭산들 강바람이 아직 차갑지만, 그 바람 속에는 시간의 흐름과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보라매 공원을 걷다 보면, 나무의 크기만큼이나 깊은 역사와 작은 풀잎처럼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