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사전 바로가기 : www.daljin.com/author/641
미술평론가 고충환(b.1961)은 월간미술대상 학술평론부문 장려상(2006)을 수상하였으며, <비평의 쟁점전> 포스코미술관(2005), <조각의 껍질 혹은 허물전> 모란미술관(2008)를 기획한바 있다.
제목 | 글쓴이 | 등록일 | 조회수 |
---|---|---|---|
지젤박/ 내면의 표상으로서의 풍경 | 고충환 | 2015-08 | 1302 |
김정연/ 멜랑콜리와 노스탤지어, 그리운 존재 그리고 어쩜 부재 | 고충환 | 2015-08 | 2002 |
남경민/ 뒤러는 예술을 우울한 기질이라고 했다 | 고충환 | 2015-08 | 1488 |
정경화 / 도화헌에서 별과 놀다 | 고충환 | 2015-08 | 1311 |
김광미/ 자기반성적인 경향성이 열어 놓은 존재론적 풍경 | 고충환 | 2015-08 | 1225 |
김인태/ 멀찌감치, 그리고 가까이 더 가까이 | 고충환 | 2015-07 | 1740 |
노신경/ 시간의 풍경과 내면풍경, 그리고 관념적인 풍경 | 고충환 | 2015-07 | 1626 |
정희정/ 제의적 퍼포먼스, 소지에서 불에 탄 산수에로 | 고충환 | 2015-07 | 1743 |
권영달/ 삶의 유비로서의 산수, 굴곡진, 주름을 만드는 | 고충환 | 2015-07 | 1418 |
서동억/ 미래에서 온 좀비들, 진화된 존재들의 역설 | 고충환 | 2015-07 | 1368 |
성동훈/ 모순과 차이를 넘어서는, 싸안는, 파생시키는 | 고충환 | 2015-07 | 1274 |
한국조각가협회/ 아카이브, 질문의 기술과 이야기의 기술 | 고충환 | 2015-07 | 1464 |
양태근/ 생태조각 혹은 생태작업, 자연과의 소통 혹은 불통 | 고충환 | 2015-06 | 1626 |
박미화/ 존재에 대한 연민과 생명에 대한 예의 | 고충환 | 2015-06 | 1282 |
차현주/ 선남선녀들의 초상, 얼굴의 현상학과 가면의 정치학 | 고충환 | 2015-06 | 1499 |
한경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용궁에서 탈출한 토끼 | 고충환 | 2015-06 | 1610 |
강도영 / 페티쉬, 살색의 허물거리는, 번들거리는, 이물스런 | 고충환 | 2015-05 | 1476 |
권영석 / 상실된, 그리운, 삶의, 존재론적 원형의 벽을 그리다 | 고충환 | 2015-05 | 1560 |
마을미술프로젝트 / 함창, 고령가야의 설화 속에 잠자는 시간을 깨우다 | 고충환 | 2015-05 | 2391 |
마크 로스코 / 선혈처럼 붉은, 침묵보다 어두운 | 고충환 | 2015-05 | 2751 |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